| 12장 | | | 12:1 사용자의 수행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요소들의 배열 |
|
12:1 사용자의 수행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요소들의 배열 (상대적 중요도: 4, 증거의 강도: 5)
지침 : 효율적이고 성공적으로 사용자의 작업 수행을 가장 잘 돕는 순서로 목록과 작업들을 배열하라.
주석 : 디자이너는 웹사이트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는 항목들의 순서가 있는지 판단하여야 한다. 만약에 그런 순서가 있다면 이를 지원하도록 사이트가 구성되어야 하며 모든 페이지는 동일한 순서를 따라야 한다. 예를 들어 항목들의 목록이나 링크들의 집합, 탭의 배열은 유의미한 순서로 되어 있어야 한다.
명확한 순서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알파벳 순서나 숫자순으로 목록을 만들어야 한다. 명심할 것은 디자이너의 로직이 아니라 사용자의 로직이 우선한다는 것이다. 역주 : 다음은 가이드에서 제시하고 있는 좋은 사례들과 나쁜 사례이다.
[아래 사례는 우선 지역에 의해 분류하고 그 다음 알파벳 순서로 분류하여 사용자가 빠르게 원하는 정보를 찾게 한 목록이다.] 
[아래 사례는 대부분의 사용자가 동일한 항목을 찾을 경우 그 항목을 목록의 제일 위에 놓아 사용자의 편의를 배려한 목록의 경우이다] 
[아래 사례는 알파벳을 세로로 배열해야 할 것을 가로로 배열하여 읽기 힘들게 만들어 놓은 목록의 경우이다.]  |
| 12장 | | | 12:2 관련 항목들은 목록으로 표현 |
|
12:2 관련 항목들은 목록으로 표현 (상대적 중요도: 4, 증거의 강도: 4)
지침 : 관련이 있는 일련의 항목들은 이어진 텍스트로 쓰는 것보다는 세로 목록으로 표현하라.
주석 : 잘 조직된 목록 형태는 빠르고 정확한 훑어보기를 쉽게 만들어준다. 한 연구에 의하면 사용자는 가로 목록보다는 세로 목록을 더 빠르게 훑어보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용자가 가로 목록을 훑어보는 것은 세로 목록을 훑어보는 것보다 20% 더 시간이 걸린다. 역주 : 다음은 가이드에서 동일한 목록을 세로와 가로로 표현해 본 사례이다. 세로 목록은 불릿을 써서 더 깔끔하게 만들었다.
[세로 목록]
 [가로 목록]
 |
| 12장 | | | 12:3 목록의 도입부 |
|
12:3 목록의 도입부 (상대적 중요도: 4, 증거의 강도: 4)
지침 : 각 목록 상단에는 도입부 헤딩(heading, 즉 단어나 문구)을 제공하라.
주석 : 설명력 있는 헤딩의 제공은 사용자가 항목들의 목록이 왜 있는지, 항목들은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쉽게 이해하게 해준다. 헤딩은 사용자에게 항목들의 분류나 원리, 주제에 대해 정보를 제공한다. 헤딩이 포함되었을 때 사용자들은 목록을 더 잘 사용할 수 있다. 역주 : 예를 들자면 네이버 블로그의 경우 포스트 메뉴는 도입부 헤딩을 쓸 수 없어 포스트 종류를 여러개의 메뉴로 분류하려 할 경우 방문객이 읽기에 힘들다. 반면에 ''이웃 블로그''는 제한된 종류이지만 그룹을 분류할 수 있는 도입부 헤딩을 쓸 수 있어 상대적으로 알아보기 쉽게 되어 있다. 다음은 가이드에서 제시하는 도입부 헤딩의 사례이다.

|
| 12장 | | | 12:4 훑어보기 편한 목록의 형태 |
|
12:4 훑어보기 편한 목록의 형태 (상대적 중요도: 4, 증거의 강도: 4)
지침 : 훑어보고 이해하기 쉽게 목록을 만들어라.
주석 : 유의미한 레이블의 사용, 효과적인 배경 색상, 경계(borders), 여백은 사용자로 하여금 항목들의 묶음을 차별화된 목록으로 분간할 수 있게 해준다. 역주 : 주로 디자이너의 책임 영역이라고 본다. 다음은 가이드에서 제시하고 있는 배경색과 라인을 적절히 사용해 만든 훑어보기 편한 목록의 사례이다.
 |
| 12장 | | | 12:5 숫자를 매기는 항목은 1부터 시작 |
|
12:5 숫자를 매기는 항목은 1부터 시작 (상대적 중요도: 4, 증거의 강도: 2)
지침 : 항목들에 숫자를 매길 때 0부터 시작할 것이 아니라 1부터 시작하라.
주석 : 숫자를 매길 때 0부터 시작해서는 안된다. 수를 셀 때 사람들은 "0"이 아닌 "1"부터 시작한다. 역주 : 숫자도 숫자이지만 시간을 예컨데 "14시"등으로 24시간 단위로 표현하는 것은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피하여야 한다.
|
| 12장 | | | 12:6 중요한 항목의 상단 배치 |
|
12:6 중요한 항목의 상단 배치 (상대적 중요도: 3, 증거의 강도: 4)
지침 : 목록의 가장 중요한 항목들은 목록 처음에 배치하라.
주석 : 숙련된 사용자는 대개 메뉴나 목록의 제일 위의 항목을 먼저 보며 리스트 아래 쪽에 있는 항목들을 보기 전에 제일 처음의 세 개의 항목중 하나를 본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사용자들은 관련 있는 것을 보게 되자 마자 목록 훑어보기를 멈추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따라서 중요한 항목을 목록의 시작 부분에 놓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역주 : 예컨데 목록의 항목들을 가나다 순으로 배치할 때 순서에 상관없이 중요한 항목을 목록 처음에 놓아야 한다는 지침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 제공뿐만 아니라 인지심리학적 연구 결과에 기반한 것이다. 가이드에서 제시하는 호칭에 관한 사례는 우선 중요 항목을 목록 처음에 놓고 그 다음 알파벳 순서로 배열하고 있다.

|
| 12장 | | | 12:7 목록의 첫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
|
12:7 목록의 첫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상대적 중요도: 1, 증거의 강도: 2)
지침 : 목록의 각 항목, 목록 박스 항목, 체크 박스 레이블, 라디오 버튼 레이블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써라.
주석 : 항목안에 일반적으로 대문자로 쓰는 단어가 있는 경우가 아니면 첫 단어의 첫 글자만 대문자하여야 한다. 역주 : 영문 웹사이트에서 영어 리스트를 만들어야 할 때 주의하여야 할 지침이다. |
| 12장 | | | 12:8 적절한 목록 스타일의 사용 |
|
12:8 적절한 목록 스타일의 사용 (상대적 중요도: 1, 증거의 강도: 4)
지침 : 동등한 지위나 가치를 갖는 항목들을 표시할 때는 불릿을 사용하라. 항목에 특정한 순서가 지켜져야 할 때에는 숫자순으로 목록을 만들어라.
주석 : 불릿 목록은 목록 안의 항목들이 고유의 순서나 차례, 순위를 갖고 있지 않을 때 쓰는 것이 좋다. 숫자순 목록은 목록안의 각 항목들을 올림차순으로 배열하며 숫자 순서가 바로 명백해진다. 숫자순 목록은 지시 사항을 제시할 때 특히 중요하다. 역주 : 다음은 가이드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례들이다. 불릿은 항목들이 동등한 가치이거나 뚜렷한 순서를 가지지 않았을 때 사용한다. 숫자순 목록은 "Top 10 질의"등의 관습적인 순서를 표시할 때 사용한다. [불릿 목록]
 [숫자순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