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장 | | | 15:1 두문자어(Acronyms)와 축약어(Abbreviations) 정의의 명확화 |
|
15:1 두문자어(Acronyms)와 축약어(Abbreviations) 정의의 명확화 (상대적 중요도: 4, 증거의 강도: 2)
지침 : 웹사이트에서 낯설거나 정의되지 않은 두문자어 또는 축약어는 사용하지 말라.
주석 : 두문자어나 축약어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사용할 경우 모든 사용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정의하여야 한다. 어떤 주제(topic)를 새로 접하는 사용자들은 그 주제에 관련된 두문자어와 축약어에도 친숙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여야 한다. 두문자어나 축약어를 정의할 때는 다음 형태를 사용한다. 예: Physician Data Query(PDQ). 두문자어와 축약어는 일반적으로 첫번째 언급에서 정의된다. 그러나 명심할 것은 사용자들이 스크롤을 빨리 하거나 두문자어나 축약어가 정의된 곳 이전에 다른 페이지로 갈 경우 그 정의를 놓치기 쉽다는 사실이다. 역주 : 두문자어는 한글에서는 활용을 거의 안하며 축약어는 영어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쓰는 편이다. 그러나 일단 사용시에는 위의 지침은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다. 다음은 가이드에서 제시하는 사례들이다.
[아래 사례처럼 홈페이지(메인 페이지)에서 정의되지 않은 두문자어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사이트의 콘텐츠나 목적에 대해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아래 사례처럼 상세하고 고도로 기술적인 콘텐츠 페이지는 초보자가 아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디자인된 것이다. 그럼에도 디자이너는 여전히 페이지에 있는 각 두문자어와 축약어를 정의해 주고 있다]  |
| 15장 | | | 15:2 축약어의 사용 자제 |
|
15:2 축약어의 사용 자제 (상대적 중요도: 4, 증거의 강도: 2)
지침 : 가능하다면 언제나 축약어보다는 용어를 완전히 풀어 써라.
주석 : 축약어를 사용하는 유일한 경우는 축약어가 매우 짧고, 필요한 공간을 절약해 주며,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이해가 가능할 때이다. 사용자들이 축약어를 읽어야 한다면 일반적으로 쓰이는 축약어만 선택하도록 한다. 역주 : 다음은 가이드에서 제시하는 미국의 사례이다. 축약어가 흔히 사용되는 경우라면(FBI, DEA) 이를 사용하는 것은 수용가능하다. 그러나 흔히 사용되지 않는 경우라면(USPIS, USPP) 완전히 풀어 쓴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

|
| 15장 | | | 15:3 친숙한 단어의 사용 |
|
15:3 친숙한 단어의 사용 (상대적 중요도: 4, 증거의 강도: 3)
지침 : 일상적으로 볼 수 있고 들을 수 있는 단어들을 사용하라.
주석 : 일반 사용자들에게 친숙하고 자주 사용되는 단어들을 사용해야 한다. 더 자주 볼 수 있고 들을 수 있는 단어들이 더 빨리 인식된다. 흔히 사용되는 단어들에 대한 여러가지 소스들이 있다(참조 문헌 생략).
친숙한 단어들은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나 관계된 사이트에 입력한 검색어를 보거나 다른 형태의 시장 조사등을 이용한 개방형 조사(open-ended surveys)를 이용하여 수집할 수 있다. 역주 : 별다른 수정 없이 국내 웹사이트에 적용 가능한 지침이다.
|
| 15장 | | | 15:4 산문 사용시 대소문자의 혼용 |
|
15:4 산문 사용시 대소문자의 혼용 (상대적 중요도:4, 증거의 강도: 5)
지침 : 연속되는 산문(prose) 텍스트는 대소문자를 혼용하여 써라.
주석 : (영어) 텍스트는 관례적으로 문장을 시작할 때와 적당한 명사, 두문자어에서 대문자를 사용하면 읽기가 쉬워진다. 항목이 사용자의 주의를 끌어야 할 때는 그 항목을 모두 대문자로 쓰거나 강조체(bold), 이탤릭체(italics)로 표현하면 된다. 강조를 표시하기 위한 이런 방법들은 두 단어나 짧은 문구 이상은 안되는데 긴 산문 문장을 읽을 때 읽는 속도를 느리게 만들기 때문이다. 역주 : 영문 홈페이지를 위한 콘텐츠 작성 지침이다.
|
| 15장 | | | 15:5 전문 용어(jargon)의 자제 |
|
15:5 전문 용어(jargon)의 자제 (상대적 중요도: 4, 증거의 강도: 4)
지침 : 일반 사용자들이 알아듣지 못할 수 있는 단어들은 사용하지 말라.
주석 : 용어(terminology)는 사용자의 정보 발견과 이해 능력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많은 용어들이 디자이너와 콘텐츠 작성자에게는 친숙하나 사용자들에게는 친숙하지 못하다. 한 연구에 의하면 일부 사용자들은 "cancer screening"이라는 용어를 이해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 용어를 "testing for cancer"라고 바꾸자 사용자의 이해를 매우 크게 개선시켰다.
전문 용어를 사용하는데 익숙한 사용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 용어를 괄호로 처리하는 것도 유용하다. 해당 주제에 초보자인 사용자를 위해 사전이나 용어집을 제공하는 것도 유용하지만 이것이 일반 사용자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용어를 자주 사용해도 좋다는 의미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역주 : 전문 용어의 남발과 사용성과는 항상 상충관계(trade-off)에 있다는 것을 콘텐츠 작성자는 명심하여야 한다. 국내 현실에서는 국적 불명의 영어 사용이 오히려 더 문제되는듯 싶다. |
| 15장 | | | 15:6 첫 문장을 설명력 있게 작성하기 |
|
15:6 첫 문장을 설명력 있게 작성하기 (상대적 중요도: 3, 증거의 강도: 4)
지침 : 각 문단의 첫번째 문장은 그 문단의 기본 주제와 문단이 포괄하고 있는 범위를 포함시키도록 하라.
주석 : 사용자들은 텍스트를 훑어 볼 때 각 문단의 첫번째 한 개 내지 두 개의 문장들만 훑어보는 경향이 있다. 역주 : 웹페이지의 콘텐츠는 일반적으로 훑어보는 경향이 있다. 이는 아직까지 종이 문서보다도 모니터 화면이 더 보기 불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단 작성시 미괄식 표현보다는 두괄식 표현이 사용자를 배려하는 것이다.
|
| 15장 | | | 15:7 능동태의 사용 |
|
15:7 능동태의 사용 (상대적 중요도: 3, 증거의 강도: 4)
지침 : 문장 작성시 수동태보다는 능동태를 사용하라.
주석 : 사용자에게는 단순하고 직접적인 언어가 더 좋다. 능동태 문장은 일반적으로 수동태 문장보다 간결하다. 강변화 동사(strong verbs)는 사용자에게 누가 행위자고 무엇이 그 행위에 의해 영향받는지 알게 도와준다. 한 연구에 의하면 연방 법령(federal regulation)을 번역해야 했던 사람들이 구절 이해를 위해 자발적으로 수동태 문장을 능동태 문장으로 바꾸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역주 : 한글에서도 영어의 영향으로 수동태 문장이 많이 쓰이고 있다. 따라서 동 지침은 단순히 영어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한글 웹페이지에서도 준수되어야 할 지침이라고 본다. |
| 15장 | | | 15:8 지시는 긍정형으로 작성 |
|
15:8 지시는 긍정형으로 작성 (상대적 중요도: 3, 증거의 강도: 2)
지침 : 일반적인 규칙으로서 지시를 내릴 때는 부정형보다는 긍정형으로 하라.
주석 : 지시(instructions)를 내릴 때, 사용자에게 무엇을 하지 말라고(예컨데 "치통이 있으면 치과에 가는 것을 빼먹지 마십시요") 하는 것보다 무엇을 해야 할 지(예컨데 "치통이 있으면 치과에 가십시요")를 말하도록 하라. 그러나 잘못된 단계를 밟을 가능성이 높거나 결과가 매우 중요할 때는 부정형으로 말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더 효과적일 수도 있다. 역주 : 문장 작성의 일반적인 지침이다.
|
| 15장 | | | 15:9 단어와 문장수의 제한 |
|
15:9 단어와 문장수의 제한 (상대적 중요도: 3, 증거의 강도: 4)
지침 : 읽고 이해하는 것을 최적화하기 위해 문장안의 단어수와 문단안의 문장수를 최소화하라.
주석 : 산문 문장을 읽기 쉽게 만들기 위해서는 한 문장안의 단어수는 20개가 넘어서는 안 된다. 또한 한 문단 안에는 6개 문장 이상을 담아서는 안된다. 역주 : 콘텐츠 작성자가 지켜야할 일반 지침이다. 다음은 가이드에서 제시하는 영문 웹페이지의 사례인바 각 문장안의 단어수와 각 문단안의 문장수가 최소화되어 있다. 한글 컨텐츠도 이에 준하여 작성하면 되리라 본다.
 |
| 15장 | | | 15:10 네비게이션 페이지에서의 산문 문장의 제한 |
|
15:10 네비게이션 페이지에서의 산문 문장의 제한 (상대적 중요도: 3, 증거의 강도: 3)
지침 : 네비게이션 페이지에 산문 텍스트를 많이 쓰지 말라.
주석 : 네비게이션 페이지에 많은 단어가 있을 때 사용자들은 링크와 결부된 텍스트를 읽기보다는 빠르게 특정 단어를 훑어보거나 많은 다른 링크들을 클릭하기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 역주 : 다음은 가이드에서 제시하는 사례이다. 위쪽의 사례는 산문(prose) 스트가 적어서 네비게이션 요소들을 페이지의 중앙에 위치시킬수 있었다. 그러나 아래 사례는 많은 산문 텍스트 때문에 네비게이션 페이지임에도 불구하고 네비게이션 링크들을 왼쪽 패널로 몰아넣을수밖에 없었다.

|
| 15장 | | | 15:11 행동 순서의 명확화 |
|
15:11 행동 순서의 명확화 (상대적 중요도: 2, 증거의 강도: 4)
지침 : 어떤 행동이나 해야 할 작업이 자연스런 순서나 례가 있을 때는(조립 지시, 문제 해결등) 차례가 분명하고 일관되도록 콘텐츠를 작성하라.
주석 : 사용자들은 시간에 기반한 순서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특이하거나 어색한 순서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거나 배우게 하지 말라. 역주 : 기획자나 보 설계자가 책임을 져야 할 지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