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장 | | | 16:1 명확한 정보의 구성 |
|
16:1 명확한 정보의 구성 (상대적 중요도: 5, 증거의 강도: 4)
지침 : 일반 사용자에게 분명하고 논리적인 구조를 보여줄 수 있도록 웹사이트의 각 수준에서 정보를 구성하라.
주석 : 디자이너는 사용자의 니즈(needs)와 사이트의 목표를 반영하는 구조 형태로 정보를 표현해야 한다. 정보는 웹사이트 수준, 페이지 수준, 문단이나 목록 수준에서 각각 잘 구성되어야 한다.
좋은 웹사이트 및 페이지 디자인은 사용자로 하여금 사이트의 구조적 관계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게 만들어 주고 사용자가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을수 있도록 도와준다. 명확하고 논리적인 구조는 사용자가 지루해하거나, 흥미를 잃거나, 실망할 가능성을 줄여준다. 역주 : 추상적이나 근본적인 지침이다. 웹사이트를 구축하는 사람들의 고민과 시행착오, 이에 따른 경험의 축적의 선순환을 통해 준수될 수 있다고 본다. 다음은 가이드에서 제시하는 하나의 사례이다. 동 사례의 디자인은 사용자에게 웹사이트의 논리적 구조를 명쾌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 구조는 사용자의 니즈-즉 폼 작성의 10단계-에 기반한 것이다.
 |
| 16장 | | | 16:2 중요한 정보의 웹사이트 상위 배치 |
|
16:2 중요한 정보의 웹사이트 상위 배치 (상대적 중요도: 5, 증거의 강도: 3)
지침 : 중요한 정보는 웹사이트 상위에 배치하라.
주석 : 중요한 정보는 가능한 한 메인페이지 부근에서 제공하여야 한다. 이는 사용자들이 사이트깊이 클릭해 들어가는 수고와 중간 페이지들에 대한 부가적인 판단을 해야할 필요를 줄여준다.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찾기 위하여 더 깊은 단계(클릭)로 들어가야 할수록 잘못된 선택을 할 가능성이 커진다. 중요한 정보는 메인페이지로부터 둘 또는 세번째 클릭 이내에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역주 : 웹을 다른말로 정의하면 하이퍼링크(hyperlink)라고 할 수 있다. 러나 중요한 정보를 여러 하이퍼링크를 거쳐야 얻을 수 있다면 정보의 발견도 어려울 뿐더러 매우 비효율적인 매체가 될 수 밖에 없다. 클릭 깊이(click depth)가 4단계를 넘어가게 되면 이미 그 정보는 사장된 정보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콘텐츠의 특성때문에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면 최대한 클릭수를 줄이는 방향으로 웹사이트가 설계되어야 한다. 기획자 내지 정보 설계자의 능력과 책임이 가장 요구되는 지침이다.
|
| 16장 | | | 16:3 편리한 훑어보기 |
|
16:3 편리한 훑어보기 (상대적 중요도: 4, 증거의 강도: 5)
지침 : 각각의 콘텐츠 페이지는 훑어보기가 용이하도록 구성하라. 즉 명확하고 잘 자리잡은 헤딩(headings), 짧은 문구와 문장, 읽기에 적당한 작은 문단을 사용하라.
주석 : 훑어보기(scanning)에 최적화된 웹사이트는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찾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다. 훑어보기하는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헤딩을 읽지만 전체 텍스트 산문(prose)을 읽지는 않는다. 이는 페이지가 텍스트로 꽉 차 있을때 사용자가 정보를 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연구들에 의하면 사용자중의 80%는 어떤 새 페이지도 훑어보기만 한다. 오직 16%만 어 단위로 읽는다. 사용자는 그들의 시간중 12%를 페이지상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는데 쓴다.
정보 찾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해 중요한 헤딩(headings)은 페이지 상단의 중앙 부분에 놓도록 한다. 사용자는 심을 끄는 것을 찾을 때까지 훑어보기만 하다가 찾은 다음에야 읽게 된다. 디자이너는 한눈에 페이지의 대부분을 무시해도 될 만큼 사용자를 도와주어야 한다. 역주 : 훑어보기 역시 의 본질적인 부분이다. 웹 서핑(surfing)이라는 메타포가 함축하듯이 정보의 바다를 다루기 위해서는 어보기가 매우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웹서핑은 훑어보기로 끝나는 것이 아니며 이는 필요한 정보나 콘텐츠를 찾기 위한 방법론일 뿐이다. 따라서 서퍼들의 훑어보기를 도와주는 것은 사이트가 갖고 있는 콘텐츠나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가장 필수적인 기초이다. 다음은 가이드에서 제시하는 훑어보기에 용이하게 만든 웹페이지이다.
|
| 16장 | | | 16:4 관련된 요소들의 그룹화 |
|
16:4 관련된 요소들의 그룹화 (상대적 중요도: 4, 증거의 강도: 5)
지침 : 검색이나 훑어보기에 소모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모든 관련된 정보들과 기능들을 그룹화하라.
주석 : 하나의 주제에 관련된 모든 정보들은 그룹으로 같이 묶여야 한다. 이는 사이트에서 관련된 정보를 찾거나 훑어보기 위한 사용자의 필요를 최소화시켜준다. 사용자는 공간적으로 근접해 놓여 있는 항목들을 개념적으로 같은 부류에 속한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동일한 배경 색상을 공유하고 있는 텍스트 항목들은 일반적으로 로 관련된 것으로 보게 된다. 역주 : 지침에서 그룹화란 공간적으로 가까운 곳에 항목들을 같이 놓는 것을 말한다. 다음은 가이드에서 제시하는 사례이다. 아래 사이트는 핵심 네비게이션 요소들과 주요 주제 영역들을 그룹화함으로써 정보를 잘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사용자가 정보를 더 빠르게 검색하고 훑어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
| 16장 | | | 16:5 필요한 정보만 표시 |
|
16:5 필요한 정보만 표시 (상대적 중요도: 4, 증거의 강도: 4)
지침 : 사용자가 이지에 있는 동안 요한 큼만으로 페이지의 정보를 제한하라.
주석 : 나치게 많은 정보로 페이지 분량을 키우거나 상호작용을 해서는 안된다. 너무 많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를 혼란스럽게 만들고 필요한 정보의 소화를 방해하게 만든다. 작업 분석과 사용성 테스트를 통하여 사용자의 현재 과업에 부적절한 정보는 배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에 집중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디자이너가 사용자의 정보 요구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을 때에는 사용자가 온라인상에서 면을 꾸밀 수 있게 만들어주도록 한다. 역주 : 다음은 가이드에서 제시하는 불필요한 정보의 표시 사례이다. 아래 사례에서 사용자는 워싱톤 D.C의 일기예보를 찾고 있다. 그러나 이 사이트는 정보를 제공하면서 아루바(Aruba)의 오늘 휴가 날씨도 제공하고 있다. 이 정보는 사용자의 원래 작업과는 관계 없는 것이다.

|
| 16장 | | | 16:6 필요한 정보의 표시 |
|
16:6 필요한 정보의 표시 (상대적 중요도: 4, 증거의 강도: 2)
지침 : 모든 필요한 정보는 페이지상의 적시적소에서 이용가능하며 표시되도록 하라.
주석 : 사용자가 한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옮겨가거나 윗 화면에서 스크롤해서 아래 화면으로 옮겨가더라도 데이터를 기억하게 해서는 안된다. 사용자가 데이터 테이블을 스크롤하더라도 헤딩(heading) 정보는 계속 보이거나 헤더 정보가 화면마다 반복해서 표시되어 각 화면마다 볼 수 있어야 한다. 역주 : 다음은 가이드에서 제시하는 사례인바, 테이블 스크롤시 원 안의 헤더 행이 위로 올라가 사라진다. 데이터 테이블의 경우 사용자가 아래로 스크롤을 함에 따라 헤더 정보를 볼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럴 경우 사용자의 활동 기억(working memory)의 용량 초과로 인해 사이트상에서 사용자의 수행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
| 16장 | | | 16:7 다양한 방문자층을 위한 정보제공의 형식 |
|
16:7 다양한 방문자층을 위한 정보제공의 형식 (상대적 중요도: 4, 증거의 강도: 3)
지침 : 웹사이트가, 동일 정보에 관심을 갖는 상이한 방문자 층들이 있는 경우 정보를 다양한 형식으로 제공하라.
주석 : 같은 사이트에서 정보는 다양한 형식과 상이한 세부 사항 수준들로 바꾸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데 암에 관한 정보는 외과 의사와 환자들에게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제시될 수 있다.
콘텐츠를 둘이나 그 이상의 이한 사용자층들을 위해 나눌 때 각 사용자층이 다른 사용자층을 위해 제공되는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허용해야 한다. 한 연구에 의하면 사용자들은 환자나 소비자층을 위한 정보뿐만 아니라 의료 전문가층을 위해 마련된 정보도 보고자 하는 것이 밝혀졌다. 사용자들은 모든 버전(versions)의 정보에 대해 그들 자신을 의료 전문가, 환자, 부양자(caregiver)등으로 먼저 규정하지 않고 접근하고 싶어한다. 이런 사용자들을 받아들이기 위해 하나의 문서를 다양한 버전(즉 기술적, 비기술적)으로 나누는 링크들이 있는 페이지까지 도달하기 전에는 방문객층이 구분되어서는 안된다. 역주 : 지침의 핵심 논점은 복수 방문객층이 있을 경우 복수 버전의 정보를 제공하라는 것이다. 단, 처음부터 방문객층을 나눌 것이 아니라 꼭 필요한 지점에 가서 분할하는 것이 좋다. 다음은 가이드에서 제시하는 사례로서 복수 방문객층을 위해 여러 버전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 16장 | | | 16:8 빠른 이해를 위한 정량적 콘텐츠의 디자인 |
|
16:8 빠른 이해를 위한 정량적 콘텐츠의 디자인 (상대적 중요도: 3, 증거의 강도: 5)
지침 : 정보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량적 정보를 디자인하라.
주석 : 정보의 빠른 이해를 돕기 위해 테이블, 그래픽, 각적 테크닉을 적절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그래프보다는) 테이블에서 정량적 정보를 제공하면 일반적으로 최고의 수행성을 이끌어낸다. 럼에도 불구하고 각적인 것이 더 나은 수행성을 이끌어내는 상황들이 존재한다. 사용성 테스트는 어느때 표 데이터나, 그래픽, 테이블, 시각화를 사용해야 사용자에게 도움이 될지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역주 : 다음은 가이드에서 제시하는 사례들이다.
[아래는 테이블 형식으로 제공하는 것보다 그래프 및 (bars)로 정보를 여주는 것이 사용자에게 데이터의 중요성을 훨씬 빨리 분간할 수 있게 해주는 사례이다] 
[아래는 수치 데이터를 바 차트로 보여주는 것이 사용자의 데이터 이해를 빠르게 해 줄 수 있는 사례이다]  |
| 16장 | | | 16:9 그룹화를 위한 색상의 사용 |
|
16:9 그룹화를 위한 색상의 사용 (상대적 중요도: 2, 증거의 강도: 5)
지침 : 사용자에게 무엇이 같은 그룹이고 무엇이 다른 그룹인지를 이해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색상을 사용하라.
주석 : 색상 사용은 사용자들이 빠르게 훑어보고 항목간의 패턴과 관계를 빨리 인지하는 것을 도와준다. 동일 색상을 사용하는 항목들은 서로 관련된 것으로 간주되나 색상 차이가 뚜렷한 항목들은 서로 다른 것으로 보이게 된다.
사람들은 10개까지는 서로 다른 범주에 할당된 서로 다른 색상들을 구별할 수 있다. 그러나 범주 구분을 위해서는 5개 이상의 색상을 쓰지 않는 것이 더 안전할 것이다. 만약 10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색상들이 쓰이게 되면 특정 관계를 맺어주는 효과는 없어질 것이다.
정보 전달을 색상 단독으로만 해서는 안된다. 역주 : 색상 사용의 효과와 사용법에 관한 지침이다. 마지막 문장은 시각장애인 및 색맹/색약 장애인을 위한 장애인 접근성상의 지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