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장 | | | 8:1 가로 스크롤의 제거 |
|
8:1 가로 스크롤의 제거 (상대적 중요도: 5, 증거의 강도: 4)
지침 : 사용자들이 가로로 스크롤 할 필요가 없도록 적절하게 페이지 레이아웃을 하라.
주석 : 가로 스크롤은 전체 화면을 보기 위한 느리고 지루한 방법이다. 가변폭(fluid)과 고정폭 중 좌측 정렬(left-justified)을 포함한 일반적인 페이지 레이아웃은 사용자의 모니터 해상도나 크기가 디자이너에 의해 사용된 것보다 작을 경우 가로 스크롤이 생기게 된다. 역주 : 가로 스크롤을 예상하고 디자인을 하는 경우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지침이 중요한 이유는 주로 해상도 문제와 관련이 있다. 이미 지적했지만 이 문제는 실제 사용자의 행태 통계(특히 800*600 해상도 사용자)를 기반으로 논의되어야 할 문제이다. 가로 스크롤 문제는 ''활동 기억(working memory)''과도 관련이 있으므로 절대 피해야 한다.
|
| 8장 | | | 8:2 읽을 때 이해가 필요한 페이지는 길게 만들기 |
|
8:2 읽을 때 이해가 필요한 페이지는 길게 만들기 (상대적 중요도: 3, 증거의 강도: 4)
지침 : 사용자들이 읽을 때 이해가 필요한 페이지는 더 길게 하고 스크롤할 수 있게 하라.
주석 : 짧게 만든 페이지에 새로 페이지들를 링크시키면 사용자의 사고 과정을 방해하는 지연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긴페이지와 짧은 페이지간의 상충관계(trade-off)를 결정하여야 한다. 긴 페이지는 읽는 사람이 링크들을 따라가다가 맥락을 잃어버리는 일이 없이 글을 읽어나갈수 있게 해준다.
그렇지만 페이지 로딩 타임이 빠르기만 하다면 사용자가 글을 읽고 이해하는데 긴 페이지나 짧은 페이지간에 뚜렷한 차이는 없다. 예컨데 한 연구에 의하면 짧은 페이지에서 전반적으로 텍스트의 심성 표상(mental representation)을 더 잘 형성하였고, 주요 아이디어를 기억해서 나중에 페이지 안에서 관련된 정보를 찾는데도 더 나았다. 다른 연구에 의하면 짧은 페이지는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역주 : 긴 페이지와 짧은 페이지간의 상충 관계는 결국 경험적인 것이므로 기획자의 판단이 중요하다.
|
| 8장 | | | 8:3 긴 페이지보다는 짧은 페이지로 |
|
8:3 긴 페이지보다는 짧은 페이지로 (상대적 중요도: 2, 증거의 강도: 4)
지침 : 사용자 시스템의 응답 시간이 어느 정도 빠른 경우 긴 페이지보다는 짧은 페이지를 사용하라.
주석 :사용자는 중요한 정보를 찾기 위해 스크롤 할 필요 없이, 링크를 선택하면서 페이지에서 페이지로 옮겨다닐수 있어야 한다. 역주 : 웹사이트의 콘텐츠가 어떤 종류이냐에 따라 빠른 응답시간을 위한 시스템 요구사향은 다르다. 멀티미디어류를 많이 쓴다면 당연히 시스템 요구 사양이 높겠지만 텍스트 위주라면 그 반대이다. 사용자 시스템 사양에 대해서는 예컨데 로그 분석을 통하여 대부분의 사용자의 운영체제(OS)가 어떠한가를 통해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네이버나 다음같이 표준 샘플링이 가능한 대형 포털에서 구글의 ''차이트가이스트(www.google.com/press/zeitgeist.html)''와 같은 통계를 발표하는 것이다.
|
| 8장 | | | 8:4 스크롤은 짧게 |
|
8:4 스크롤은 짧게 (상대적 중요도: 2, 증거의 강도: 2)
지침 : 사용자들이 특정 정보를 찾는다면 정보를 여러 부분(짧은 페이지)으로 나눠라.
주석 : 많은 웹사이트의 경우 사용자들은 긴 페이지보다는 짧고 정보가 잘 조직된 페이지를 잘 다룬다. 왜냐하면 스크롤은 시간을 많이 잡아 먹을수 있기 때문이다. 나이든 사용자들은 젊은 사용자들보다 스크롤을 훨씬 느리게 하는 경향이 있다. 한 연구에 의하면 인터넷 사용자들은 페이지내에서 스크롤하는데 약 13%의 시간을 소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각 페이지의 스크롤 시간은 아주 짧지만 이것이 축적되면 유의미한 시간이 되는 것이다.
역주 : 웹사이트를 단지 젊고 인터넷에 익숙한 매니아들만 사용하던 시대는 이미 지난지 한참되었다. 2003년 말 현재 40대 인구의 51.6%가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http://isis.nic.or.kr 통계). 즉 중노년층과 이른바 넷맹 세대에 대한 고려 없이 사이트를 구축하던 시기는 지난 것이다. 동 지침 그리고 가이드 전체의 가장 큰 의미는 여기에 있다. |
| 8장 | | | 8:5 빠르게 스크롤 할 수 있게 만들기 |
|
8:5 빠르게 스크롤 할 수 있게 만들기 (상대적 중요도: 1, 증거의 강도: 3)
지침 : 주요 항목들을 강조하여 스크롤을 빠르게 할 수 있게 하라.
주석 : 웹페이지는 사용자들이 스크롤하는 것에 따라 빠르게 혹은 느리게 움직인다. 어떤 사용자들은 오른쪽 스크롤바의 끝에 있는 검은 삼각형을 눌러 스크롤하는데 이 방법은 느리지만 스크롤하는 동안에 대부분의 정보를 읽을수 있다. 다른 사용자들은 스크롤 박스를 끌면서 하는데 훨씬 빠르게 스크롤 하게 된다. 스크롤 박스를 끌면 사용자들이 산문(prose text)을 읽기에는 화면에서 정보가 너무 빨리 지나가게 된다. 그러나 디자인이 잘 되고 자리를 잘 잡은 주요 헤딩(headings)들은 읽을 수 있다. 역주 : 예컨데 강조체이면서 크기가 크고 그래픽이 받쳐주는 헤딩들은 스크롤을 좀 빠르게 하더라도 사용자들이 읽을 수 있다.
|